Reflection: 明鏡止水 명경지수, Kwon Kisoo, Gallery Hyunday , by Jienne Liu
조회 수 16510 추천 수 0 2012.01.10 11:35:03Kwon, Ki-Soo
Reflection: 明鏡止水
by Jienne Liu, Curator,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Kwon Kisoo’s works are known for their exuberant
colors, patterned backgrounds and charming figurelike
characters. Kwon’s works from the early 2000s show
single protruding characters with patterned backgrounds.
These works show the process of his own introspective,
answer-seeking process to the question of how one can
navigate society. We can glimpse the artist’s hope to
establish himself in his field and his desire to continuously
confirm his position in the art world. In reflection of these
aspects, the characters endlessly wander around in the
air or aimlessly stroll on an undesignated pavement;
the background is an ideal world or scenes from the
artist’s on experience. The sentiment of isolation and
solitude seen in his early works are ways of revealing
Kwon’s reflection or introspection on the external world,
a modern way of portraying Zhulinqixian; that is, leading
a carefree life and turning his back against the world
which is filled with migraine-inducing controversies
and conflicts. As seen from this, Kwon’s background is
deeply rooted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we can
see that his world is still connected to traditional Korean
art. His character-image in the early era was a utilization
of an already-familiar image seen in the ancient painting
catalogues of Eastern Asia or shown in simple black ink
drawings. Kwon wished to unravel the inner turmoil and
conflict caused between his inclinations for a carefree life
and suffocating realities with impromptu-like drawings
in simple black ink. The character-image is soon greatly
simplified and becomes like a sign; nowadays, it is more
fixated to a single icon-like figure.
Kwon’s recent works, however, show changes in this
character image. As the background grows even more
splendid and exuberant, more abundant narratives are
being unfolded. Within this mainstream, the character
image is both a delegate or surrogate of the artist and
at the same time, a story-teller in a clown costume
who provides entertainment to the viewers. Before, his
character-image was all about smiling faces, causing
some misunderstanding that all Kwon ever tries is to
make a pretty work or one at least resonating with
happiness. However, looking closely, we can see that the
saddened fact of life is also present; for some people, it
is imperative and inevitable for them to grin even under
the grim facts of life, and, as a mere human-being, one
is ruled by the human sentiments of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is is like the pathos of the clown who
must make people laugh on stage. Kwon’s figure has
a standardized smile, a diamond-shaped body and
simplified outline, all of which accentuate and stress the
presence of the icon-life figur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icture.
Due to the simplified representation, the figure has
less impact of an actual, lively existence yet the untold
stories of the figure are overall complemented by the
theme, composition and the impression of colors. With
the variety of subjects, meticulous compositions, refined
color expression and simplified figure, Kwon makes his
work much more ample. The subject matter is still dealt
with in a simplified manner, but the juxtaposition of the
color field and partially-divided section further boosts
the adornment of the screen. The exuberant colors of
the screen may look like a digital print, but they are
still imbued with analogue sentiment and technology.
Kwon’s use of colors is like the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found on Korea’s ancient buildings. The
colors were carefully chosen and meticulously applied
through a laborious taping process with retouch after
retouch, requiring hundreds of hours of labor. As can
be witnessed through the sharp cut cross-sections in the
background, these further protrude upon and emphasize
the jubilant color fields. Such vibrant use of colors is a byproduct
of Kwon’s efforts through which he maximizes
and fully utilizes the value and assets of the genuine
painting work.
Kwon’s method of screen composition is not an
enumeration of subjects but a creation of stories with
carefully-chosen subjects all together. The subject of
bamboo trees, flowers, or wave-like rainbows enrich
the screen narrative, further inspiring the audiences’
imaginations. Each subject entails its own stories. His
recent works frequently show the reflected image of
the figure on the water,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rtist’s hope of reflecting his life in the past. In this
respect, this figure is like a self-portrait.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ed image of the rainbow symbolizes the
realm of fictional imagery. The rainbow makes the viewer
doubt the world or reality unfolding in front of one’s very
own eyes. The repetition of the meaningless illusions
reminds us that such doubts will strike us again and again
in the as-yet-unarrived future of reality, because the
repetition is not in a stand-still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orthodox meaning of a rainbow from the traditional
painting field could be also applied. Conventionally, a
rainbow signifies a medium that connects reality and the
imaginary. It can also be a bridge that could connect
a solitary hermit with the world. In this regard, the
person who crosses the rainbow in his works could be
seen as someone who is seeking another person who
has been placed beyond the rainbow, i.e., the other
world. Likewise, Kwon does not differentiate the past
and present while endowing meaning in the subject.
The fountain, shown in simplified outlines, are similar
to orchid paintings, and the bamboo trees represented
in the color fields are also frequently seen Korea’s
traditional painting, which both symbolize the hermit’s
place and, at the same time, are similar to skyscrapers
with their emphasis on verticality. Kwon’s way of
transcending the past and present again accentuates the
fact that his way of succeeding to tradition is not simply
adopting the traditional way of painting, as in using ink.
Even with the seemingly-splendid background, he limits
the subject matter, such as bamboo trees, flowers and
rainbow waves; these are self-replicating, or breeding,
within the screen on their own. It seems like this may
have inherent limits, but does not. The Four Gracious
Plants--the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were long-lasting themes in gentry paintings, lasting
four hundred years. As these subject matters had
long-enduring dominance in the art world, Kwon’s
combination of subject matter and composition manifest
numerous variations. For a while, the Four Gracious
Plants were the most commonly-chosen subject matter
for the learned gentry and scholars, who used ink and
Hanji (Korea’s traditional paper). They were the symbol
of the endeavors to overcome reality and to harness
one’s temperament. Under this influence, Kwon wishes
not to isolate himself from Korea’s world of traditional
painting, constantly reminding himself that his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was from this venerable history. Kwon
aims to train himself as an artist by utilizing modern
tools and methodologies. Kwon is aware of the fact that
simply adhering to ink painting is not properly portraying
and conveying the spirit of oriental art and Korean art.
This is why he challenges himself with various mediums
such as painting, sculpting, installation or video. For him,
painting is the medium with which he can unfold and
ensure the most primitive ideas of the artist; he liberates
his imagination with painting, such as the utilization
of colors and forms. The limits residing in painting,
however, such as constructing composition, adding
elements of motion or a lack of haste, were overcome
with animation. When he encountered problems in
space dominance, he again challenges himself with
sculpting and installation works.
While he further masters his skills and techniques, his
works are becoming even more splendid yet complex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space is a single
space where the division of the ground, sky, ocean or
water is unnecessary, and hidden behind the varied
subjects and figures. The whole space is dominated by
a single colored background, making time and space
even more ambiguous and further provoking viewer
imagination. The canvas is packed with those motifs,
with Japanese apricot flowers and bamboo in full bloom,
from any perspective or three-dimensional feature. This
gives the works an all-over painting-like concept, further
advocating the adornment tendencies of his work. Like
a cosmic big-bang, energy is internally conglomerated
and condensed within the screen; then exploded and
expanded into the outer realms of the canvas. Contrary
to this explosion of energy, the serene introspection is
concurrent with the exploding energy, even minimalist
in a way. Kwon adopts a dialectical principle of achieving
overall balance by seeking appropriate control of the
screen composition.
Through this process, Kwon continuousl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is artistic reflection and action, finding
his own answers and being constantly aware of this issue.
As for how to unfold his idea, Kwon learned to have an
open mind toward methodology and processes in this.
As Kwon strenuously seeks how to actualize his ideas
without physically involving the artist’s engagement,
this becomes his most impending task: his works are
embroidered with a variety of new trials and ventures, at
the same time, ensuring profundity for his content and
maintaining a boost for his career perspective. From the
end of the 1990s and into the early 2000s, new artists
have attracted attention with novel ideas and subject
matters, gaining dominance and influence in the art
scene. However, there are still few who continuously
develop novel ideas based on artistic tenacity; Kwon
absolutely stands out even amongst these few with
his harmonious combination of new ideas, integrity
toward art and technique. In this regard, the time is now
ripe to endow proper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s
of Kwon’s works, going beyond mere curiosity. This
exhibition provides ample support and grounds to meet
our expectations further attuned to the sentiments and
imagination of the audience. All this as a whole could be
a new impetus with which Kwon can envisage and unfold
a new story.
(Gallery Hyundai, Seoul, 2011)
권 기 수
Reflection: 明鏡止水명경지수
류지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권기수의 작업은 흔히 화려한 색감과 장식적인 배경, 그리고 귀
여운 인물 캐릭터로 잘 알려져 있다. 2000년대 초 작업은 단독
인물상을 중심으로 한 화면이 대부분이었다. 주제는 주로 ‘사회
에서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작가 스스로의
해답을 찾는 과정을 작업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었다. 작가는 예
술가로서 자리잡고 싶은 희망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끊임없
이 미술계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인물아이콘은 어디론가 허공을 날아다니고 길을 걷고 있으며
화면의 배경 역시 작가가 경험한 세계 혹은 이상향의 세계로 나
타나게 되었다. 초기작업에서 보여지는 인물의 소외감, 고독감
의 표현은 외부세계에 대한 작가의 성찰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서 어지러운 세상을 등지고 자유분방한 삶을 영위하였던 죽림
칠현의 현대적인 표현이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랫동안 한국화를 배웠던 만큼 권기수의 작업은 한국화의 전
통과 연결되어 있는데 초기의 인물이미지는 옛 화보(畵譜)에 근
거하여 동아시아 회화에서 익히 알려져 있는 이미지를 활용하
거나 혹은 간략한 먹드로잉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작가는 외부
세계에 대하여 솔직하고 자유롭고 싶은 마음과 그렇지 못한 현
실의 사이에서 겪은 작가의 내적 갈등을 짙은 먹선의 즉흥적인
드로잉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비롯된 인물
이미지는 점차 단순화되고 기호화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마
침내 하나의 아이콘처럼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작업에서 인물이미지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배경이 화려해짐에 따라 작가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더욱더
다양하게 펼쳐보임으로써 인물이미지는 작가 자신을 대변하는
대리인의 역할과 동시에 보는 이를 즐겁게 하는 광대같은 화자
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마냥 웃고만 있는 캐릭터적인 요소는
그의 작품을 무조건 예쁜 그림으로 보이게 만드는 오해를 불러
일으켰지만 사실 희노애락의 현실 속에서 웃을 수 밖에 없는 사
람들의 처지를 보여준다. 마치 무대 위에 서서 관객을 웃겨야
하는 광대의 페이소스과 같은 것이다. 획일화된 웃음과 더불어
마름모꼴의 몸통과 윤곽선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표현은 오히려
인물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면서 화면의 가장 중요한 존재로 등
장하게 된다.
간략화된 표현으로 인해 인물이 지닌 생명 에너지는 반감되었
지만 인물이 미처 다 보여주지 못하는 이야기는 소재의 선택과
구성, 그리고 색감 등에 의해 종합적으로 보여진다. 소재의 선택
및 치밀한 구성, 세련된 색감과 간략화된 형태감으로 인해 화면
의 내용은 더욱 풍부해졌다. 소재들은 간략화된 형태로 처리되
어졌지만 부분적으로 구획되어진 색면의 병렬로 인해 장식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화려한 색채의 화면은 프린트같이 보이지
만 사실 매우 아날로그적 감수성이 내재되어 있다. 한국의 단청
색처럼 선명한 색채사용은 세심하게 계산되어 재단되었으며 테
이핑작업을 수없이 반복하여 덧칠한 결과로서 수백시간과 노동
력이 수반되는 작업이다. 인물을 제외한 나머지 소재에서 보여
지듯 칼로 도려낸 결과로서 나타나는 예리한 단면은 원색의 색
면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화려한 색채의 사용은 권기수
가 작업을 통해 회화로서의 가치를 최대한 발휘하고자 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권기수는 화면의 구성방식을 소재의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신
중하게 선택된 소재들이 전체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조합하고 있다. 다시 말해 대나무, 꽃, 무지개 물결무늬
등 소재들이 화면에 더하여져 화면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듦으
로써 보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하고자 하려는 의도가 크다. 그러
므로 소재마다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근작에서
는 인물이 물에 비친 반사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하는 데, 이는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고 싶은 작가의 희망을 담고 있다. 그러므
로 여기에서 등장하는 인물은 자화상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
기도 하다. 또다른 소재인 무지개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허상
이라는 사실로 인해 반사된 무지개의 이미지는 허상의 허상을
상징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지개의 이미지는 보는 이로 하여금
현재 눈 앞에 펼쳐진 현실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게끔 한다. 의
미없는 허상의 반복은 정지된 상태가 아니므로 그러한 의문은
미래에도 계속 맞닥뜨리게 될 또다른 현실임을 깨닫게 해준다.
한편 여기에는 전통회화에서 무지개가 지니고 있는 의미도 마
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전통적인 그림에서 무지개는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은둔하고 있는 친구를 찾
아가는 다리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권기수의 화면 속
에서 무지개를 건너는 인물은 무지개 너머 누군가를 찾으러 어
디론가를 향해가고 있는 상황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권
기수는 소재에 의미를 부여함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를 구별하
지 않는다. 간략화된 선으로 표현되는 분수는 마치 난초를 치는
표현과 유사하며 색면으로 처리된 대나무 역시 한국화에서 많
이 등장하는 중요한 소재이므로 은자의 공간을 상징하기도 하
지만 현대적인 의미에서 보면 수직적인 형태감이 강조된 마천
루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소재에 있어 과거와 현대를 아우르는
통시대적 의미부여는 권기수가 한국화의 전통을 잇는 방법이
단순히 먹을 이용한 고답적인 표현방식만이 아니라는 점을 강
조하고 있다.
한편 대나무, 꽃, 무지개 물결무늬 등 많지않은 소재로 화면 안
에서 자기 증식하듯이 조합되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을 것처럼
보이나 사실 그렇지 않다. 매,난,국,죽 4가지 소재로 수백년 이
상 지속되었던 사군자의 힘에서 보여지듯이 권기수의 소재도
조합, 구성 등에 따라 무한한 변주를 보여주고 있다. 오랫동안
사군자는 선비와 문인화가들에게 가장 흔하게 취할 수 있는 먹
과 종이라는 재료를 사용하여 현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
이자 인격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양의 방법이었다. 이러한 영향
아래 권기수는 자신의 예술적 근원이 한국화에서 비롯되었음
을 잊지 않고자 하며 21세기 오늘날 취할 수 있는 재료와 방법
을 통해 예술가로서 자신을 단련하고자 한다. 작가는 단순히 먹
과 묵법을 고집하는 것만이 한국화, 동양화의 정신을 제대로 전
달하는 것은 아니라고 믿기 때문에 회화, 영상, 조각, 설치 등 매
체를 가리지 않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에게 회화란 예술가
의 가장 원초적인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공간이
므로 색, 형태를 통해 자유롭게 자신의 상상력을 펼쳐보인다. 회
화작업에서 느꼈던 구성 편집의 한계와 소재의 운동감, 속도감
에 대한 갈망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극복해나갔으며, 공간을 장
악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조각과 설치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한편 기교가 완숙한 경지에 다다름에 따라 작업은 점점 화려해
지고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 회화작품에서 수많은 소재와
인물에 의해 가려진 배경은 사실 땅, 하늘, 바다, 물과 같은 공간
이 전혀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공간이다. 단색으로 처리된 전체
공간은 인물이 존재하고 있는 시공간에 대한 개념을 모호하게
만듦으로써 보는 이의 상상력을 더욱 자극시키고 있다. 더욱이
원근감도 거의 없는 가운데 소재들이 빼곡히 들어차있고 매화
와 대나무가 만개한 화면은 전면화의 개념을 지니고 있어 더욱
더 장식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가 팽창하여 폭발하
는 빅뱅과 같이 그의 화면은 내면의 에너지가 응축되어 화면 밖
으로 팽창해나가고 있다. 하지만 폭발하는 기운과 정반대로 조
용히 관조하고 스스로의 존재를 사유하는 미니멀한 경향의 작
업도 병행하고 있다. 권기수는 화면의 구성방식조차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어나가는 정반합의 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작업의 진행을 통해 권기수는 예술가적 사유와 행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자문하며 답을 구하면서 남다른 의식을 가
지게 되었다. ‘아이디어를 어떻게 펼쳐보일까?’ 라는 물음을 자
문하면서 방식, 기법 등에 대하여 열린 마음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작가의 행위가 직접적으로 개입되지 않더라도 아
이디어가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방법을 찾는 것조차도 작가의
기본적인 고민임을 깨닫게 되면서부터 그의 작업은 다양한 경
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내실을 더해갔다. 1990년대 말부터 2000
년대 중반까지 신진작가들은 참신한 아이디어, 새로운 주제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았고 화단의 주요한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예술가적 집념에 의해 지속적으로 아이디어의 참신함을
발전시켜 나가는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작가들이 많지 않는 상
황 속에서 권기수는 어느덧 작가의 아이디어, 작업의 태도와 방
법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경지의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
러므로 일시적인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작업이라는 단
계를 넘어선 권기수의 작품은 이제 작품의 가치에 대하여 제대
로 된 평가와 해석이 뒷받침되어야할 시점이 맞이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그러한 기대를 충족할만한 충분한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관람객의 감수성과 상상력이 더해져서 작가로 하
여금 더욱더 새로운 이야기를 꿈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